반응형 전체 글213 네이버 블로그, 티스토리, 구글 블로그 에서 이미지에 걸린 링크를 삭제하는 방법 목차 개요 의도적으로 이미지에 포스팅 작성자가 일부러 링크를 건 것이 아니라면, 링크가 자동으로 걸려있는 이미지를 카피나 재로딩 해서 사용하는 것은 가끔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읽는 중 필요없는 커서의 변화도 나타날 수 있고, 혹시나 누를 경우 페이지 아웃이 일어나기 때문에 읽는 사람이 당황할 수도 있고, 또 어떤 브라우저의 경우에는 그 모양이나 크기가 작성자가 생각한 것과는 좀 다르게 표현될 때도 있습니다. 그러니 가능하면 이미지에 걸린 필요없는 링크는 삭제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미지에 링크가 걸려 있는지 안걸려 있는지 분간하는 방법 가장 애매한 것이 구글블로그 입니다. 왜냐하면 이미지에 링크가 걸려 있어도 걸려있다는 표시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다 보니, 자기가 첨부한 이미지인데도 링크가.. 2024. 9. 13. 16:54 네이버 블로그에서 '예약발행' 한 글을 수정하는 방법 개요네이버 블로그에서도 '예약발행'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티스토리나 구글블로그와 다른 점은 '관리' 화면이나 '블로그 주인'의 자기 블로그 화면에서 그 글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입니다.그러나 누구라도 가끔씩 '예약발행'을 한 후에 그 글을 다시 확인해 보고 싶어지거나, 수정해야 할 곳이 생각나는 경우는 그리 드문 일이 아닙니다. 그러면 그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방법(1) 먼저 '글쓰기' 하면으로 들어 갑니다.(2) 들어가면 오른쪽 위 귀퉁이에 "예약발행 *건" 이라는 버튼이 보입니다. 그걸 누릅니다. (3) 그러면 예약발행된 포스팅 들의 목록이 나오고, 그중 보고 싶거나 수정하고 싶은 것은 누르면 됩니다. (4) 누르면 자신이 예약발행 했던 포스팅이 나오고 작업하시면 됩니다. 2024. 9. 13. 15:51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이미지에 이메일과 전화번호 링크를 거는 법 먼저 이메일 링크를 입히는 법 입니다. 이 방법들은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간략하게 설명하겠습니다. 티스토리에서는 네이버 블로그 보다 좀 더 간단합니다. 이미지를 누르고 나오는 링크 (사슬 모양) 버튼은 누르고 나오는 URL 입력 창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mailto:원하는 메일 주소여기서 주의할 점은 'mailto:' 와 이메일 주소 사이에 빈칸이 없도록 딱 붙여서 입력해야 합니다. 습관적으로 한칸떼면 작동하지 않습니다. 전화번호를 링크로 거는 방법은 네이버 블로그와 똑 같습니다. 링크 화면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tel:000-0000-0000여기서 주의 할 것은 'tel:' 뒤에 빈칸이 없도록 딱 붙여서 전화번호 숫자를 써야 합니다. 습관적으로 한칸 떼면 입력 버튼이 활성화 되.. 2024. 9. 13. 14:48 구글 블로그에서 관리자 프로필을 수정하는 방법 기억장치구글 블로그는 그 관리자 프로필을 수정할 수 있는 페이지를 별로도 제공합니다. 그 페이지의 URL 주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실 이것은 매우 간단한 것이기 때문에 길게 쓸 것이 없지만, 할 때마다 잊어 먹어서 그때마다 자꾸 찾아 보게 되는 그런 내용이어서 '기억용'으로 적어 놓는 것 입니다. 왜냐하면 프로필은 자주 바꾸는 것은 아니다 보니 어쩌다 들어가 보려면 그때 마다 기억이 안나기 때문입니다.https://www.blogger.com/edit-profile.g Blogger이메일 또는 휴대전화accounts.google.com또 한가지 방법은 '설정' 메뉴에서 제일 맨 아래로 내려가면 거기에 "프로필 수정" 이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2024. 9. 13. 13:44 구글 블로그에서 인용구, 인용부호 표시를 사용하는 방법 2가지 개요네이브 블로그나 티스토리 블로그 처럼 다른 블로그들을 사용해 보신 분들은 '인용구를 위한 인용부호' 사용에 익숙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구글블로그에는 인용부호를 위함 명령이 없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많이 안타까워만 할 필요는 없는데 왜냐하면 약간은 더 수고 스럽더라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이 있기 때문입니다. 단, 약간은 프로그램적인 요소가 추가되어야 하니 그점 참고 바랍니다. 다만, 다행스러운 것은 그런 작은 프로그램적 코드를 내가 만들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인터넷에 여기저기 많이 있으니 긁어서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매우 작은 코드 기능성 코드 이므로 저작권 등을 고민하지는 않아도 됩니다. 메뉴에 보이는 쌍따옴표이 버튼에는 사실 아무 기능이 없습니다. "받은메일" 이라는 설명.. 2024. 9. 13. 12:41 네이버 블로그에 이메일과 전화번호를 이미지 링크로 삽입하기 개요네이버 블로그는 자기 포스팅 내에 이메일 주소나 전화번호를 직접 입력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이 내용은 네이버가 공식적으로 밝힌 바는 없으나, 수 많은 경험자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말인 데다가, 네이버가 공식적으로 부정한 적도 없기 때문에 거의 기정사실로 받아 들여 지고 있습니다. 사실 누구든 어떤 형태로든 자신의 홈피나 카페 블로그 등을 운영하는 사람이라면 '사이트 인'을 좋아하지 '사이트 아웃'을 좋아할 사람은 없기 때문에 당연한 일일 수도 있다고 보입니다. 그러나 이메일이나 전화번호는 '사이트 아웃' 이라고 보기에는 좀 다른 면이 있어서, 선듯 동의하기에는 좀 의아한 구석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그러나 경험치에 의한 의견들 이므로 피해가는 방법이 전혀 없다면 모르겠으나,.. 2024. 9. 13. 11:42 구글블로그의 rss를 구글서치콘솔 과 네이버서치어드바이저 웹마스터에 rss 등록하는 법 들어가는 말티스토리를 해보신 분들이라면 rss 등록을 그리 어렵지 않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 https://사이트URL/rss 라고 친 뒤 "확인"만 누르면 간단하게 처리 되니까요. 그런데 구글블로그의 rss를 등록하려면 그게 안됩니다. 하는 방법이 좀 다른 겁니다. 티스토리 처럼 했더니 오류가 나는 경우티스토리 처럼 https://자기URL/rss 이렇게 입력을 하면 위의 그림과 같은 오류가 납니다. 이것은 구글서치콘솔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에러가 출력되는 화면의 모양은 조금 다르지만 안되기는 마찬가지 입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요?? 조금 다르게 해야 하는 입력https://자기블로그URL/feeds/posts/default?alt=rss 와 같은 형식으로 입력하면 됩니다. 별로 어려운 건.. 2024. 9. 13. 10:36 [베헌이s톡] 이직률 20%의 의미 (turnover ratio) 들어가는 말 누구나 직장을 선택할 때 많이 고려하는 부분 중에 하나는 "그 회사의 이직률이 얼마나 되나??" 입니다. 왜냐하면 누구나 '이직률'이 너무 높은 회사는 "뭔가 문제가 있구나!!" 라고 생각을 하고 가능하면 '이직률'이 너무 높지 않은 회사를 선택하려는 생각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이직률은 얼마나 낮아야 하는 걸까요?? 1. 이직률 (turuover ratio) 과 평균 근속 기간 이직률 혹은 영어로 턴오버 레이트 라고 하는 용어는 보통 '%'로 말하거나 혹은 '평균 근속 연수'로 말합니다. 이 둘은 %로 이야기를 하나 '년수'로 이야기를 하나 같은 의미 인데요. 설명 드리겠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우리 회사는 턴오버 레이트가 10%야" 라고 말한다면, 그 회사는 해마다 약.. 2024. 9. 13. 09:21 애드센스에 등록한 구글 블로그에서 "ads.txt 찾을 수 없음" 이 나올 때 개요위의 그림과 같이 애드센스에 자신의 구글 블로그를 등록했는데, Ads.txt가 '찾을 수 없음'으로 나오는 경우에 대한 처리 방법입니다. 몇가지 방법이 있으나 '구글 블로그 설정'에서 간단하게 등록하는 방법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제 경험으로는 여러가지 방법을 다양하게 자세하게 설명을 해 놓으면 다양한 케이스에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겠으나, 제가 보기에는 전체의 90% 이상이 가장 쉬운 '한가지' 방법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너무 자세한 설명은 대부분의 경우에서 피로도를 높이기 때문입니다. 구글 블로그 설정에 들어가세요(1) 위 그림에서 나오는 것 처럼 "설정"을 누르고 우측 화면을 아래로 쭈욱 내립니다. (2) 내리다 보면 "맞춤 ads.txt 사용설정" 이라는 메뉴가 .. 2024. 9. 13. 08:28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24 다음